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유아주도놀이 지원방안 탐색

첨부자료/연구의시작

by prohee 2022. 1. 15. 22:50

본문

반응형
SMALL
 유아놀이
 어린이들은 놀이 속에서 기쁨과 환희, 즐거움뿐만 아니라 좌절과 슬픔, 괴로움 등의 모든 감정을 경험한다. 이렇게 어린이의 놀이가 그들의 삶이고, 일상적인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어린이 놀이에 관한 연구는 지금까지 실증적이고 발달적인 지식, 도구로 다루어 온 경향이 있다. UN의 아동권리협약 제 31조에는 ‘모든 어린이가 충분히 쉬고 놀 권리가 있다’고 명시한다. 유아에게 놀ㄹ이는 당연한 권리이며, 성장과 배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유아와 놀이는 분리할 수 없다. 놀이는 인간으로부터 나오는 자연스러운 행위로 유아들은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놀이와 접하고 있다.

반응형
선행연구 '유아놀이'
유아교육과정에서 놀이의 활용에 관하여 살펴본 연구(엄정애, 2004)에 의하면,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는 생활주제와 연관된 다양한 놀이 환경을 지원함으로써 놀이 활동과 학습 내용이 자연스럽게 통합적인 활동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거나 유아들의 자발적인 놀이 속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흥미를 교육활동으로 확장하는 방식으로 놀이를 활용한다. 유아 주도의 놀이는 유아의 흥미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아에게 의미 있는 교육 경험이 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Wood(2009)는 놀이를 정의한 여러 학자의 연구를 정리한 놀이의 정의에 포함되는 특징을 제시하였는데 내적 동기 부여, 긍정적 감정, 상징적 행동, 표상, 비 일상성, 능동적 참여, 외부 규칙보다 내부 규칙에 근거한 행동, 자기 통제와 자율성, 결과 보다 방법의 중시, 마지막으로 주제와 목표의 자율적인 변경이 해당한다. 위와 같은 내용 을 살펴보았을 때 놀이란 스스로 구성하고 이끌어나가며 즐거움을 영위하는 유아의 주체적 행위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우리는 놀이를 어떻게 보고 있는가?

놀이중심 교육과정
우리나라 국가수준 교육과정인 표준보육과정은 주제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각 시기별 생활주제에 따라 소주제와 교육목표가 설정되어 있다. 교실 환경과 교재 교구들은 해당 주제에 맞추어 영역별로 제시되며, 유아들은 제시된 교구를 통해 자유선택활동을 진행한다. 이는 교사가 준비한 것에 의해 놀이와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자신이 스스로 선택해서 활동했을 때를 놀이로 인식하는(Fein, 1985) 유아에게 진정한 의미의 놀이라고 할 수 없다. 우리나라는 초기 유치원 교육과 국가수준의 유치원 교육과정 제정부터 현재의 유아교육과정인 만 3-5세 연령별 누리과정(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a)에 이르기까지 놀이를 학습의 매개체로 여기며, 교수‧학습 방법으로서의 놀이 중심 교육을 강조하였다. 놀이 중심 교육은 “유아교육 전문가들이 학습 및 교수법 에 대한 놀이 및 놀이스러운 접근 방법, 놀이에 기반한 학습 환경을 설계하는 방법, 놀이를 통한 학습 및 교육을 지원하거나 향상시키는데 사용하는 기술과 전략 및 모든 교육적 결정을 마련하는 것”(Wood, 2004, p. 27)으로 정의된다. 놀이 중심 교육을 운영한다는 것은 학습자인 유아가 놀이를 통해 교육내용을 경험하고 학습을 공고히 해 나갈 수 있도록 놀이와 교육과정 요소들을 연계하여 조직한 놀이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놀이와 교육과정을 연계하여 운영하는 전체적인 교육 계획에서부터 놀이나 학습 상황에서 놀이를 통한 학습을 지원하는 구체적인 전략에 이르기까지 다양함을 알 수 있다.

 

SMALL

 

이에 놀이중심교육에서 유아놀이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를 진행하여 실행과정과 그 과정에서 유아와 교사에게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놀이를 위한 실행 방안 모색과 실행과정을 통해 유아 놀이의 질을 향상시키고, 교사의 유아놀이 지원실행과 지원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반응형
LIST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