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사실과 진실

질적연구이해하기

by prohee 2022. 1. 9. 10:13

본문

반응형
SMALL

 

새로운 패러다임 of Schwartz and Ogilvy

 

   movement from simple to complex realities

   movement from hierarchic to heterarchic concepts of order

   movement from mechanical to holographic images

   movement from determinacy to indeterminacy

   movement from linear toward mutual causality

   movement from assembly to morphogenesis

   movement from objective to perspectival views

 

 

 연구자와 참여자의 사진 -현장연구 진행 중-

 

SMALL
고고학자들이 발굴해 낸 하나의 조각이 이전의 역사를 알게 해주는 것처럼 개인의 현재는 과거의 한 시점에서부터 이어져 온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한 시점에서부터 지금까지 이어져 온 경험들로 미래를 예측한다. 과거의 경험과 이어진 경험을 토대로 지금의 현재가 있는 것이고 현재 또한 경험으로 이어지는 과거와 같다. 부분이하는 점이 전체에 대한 정보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모든 것은 인과관계가 아니라 상호작용이라는 것을 담고 있다.

 

상호작용은 한사람과 한사람이 만나서 곱하기가 되는 영향력이다. 1+1이 아닌 1X1로 영향이 미친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새로운 특성을 알아가는 것이 새로운 능력, 시너지효과이다. 이러한 것은 한 현상을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한 인식에 대한 이야기이다.

 

'Shirtey Brice-Heath'의 문화기술지적 연구를 설명하는 사진  = 두 계층의 상호작용

2022.01.12 - [첨부자료] - 사실과 진실 = 인과관계가 아닌 상호작용

 

사실과 진실 = 인과관계가 아닌 상호작용

The work of. Shirtey Brice-Heath is a good example of ethnographic research, Although quite old now, it is still considered to be influential today. Brice-Heath spent ten years fving and working am..

prohee.tistory.com

 

 

반응형
네가지 수준의 reality(현실, 사실, 진실) 



1. 객관적 reality

naive realism or hypothetical realism: the reality may at some point be known to all

모든 사람에게 알려질 수 있는 공유할 수 있는 사실이라고 할 수 있다.

2. 인식된 reality

here is a reality: whether or not individuals might ever know it wholly: but one cannot know it fully

공유 된 사실은 인식하는 주체에 따라서 해석하는 것이 다르다. 모두 자신의 방식으로 생각하고 있다.

3. 구성된 reality

it is dubious whether there is a reality: if there is, we can never know it

공유할 수 있는 사실이 있는지 없는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세상에 이런 사실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것들을 우리는 공유해간다.

4. 인식된 reality

reality doesn’t exist until either it is constructed by an actor or it is created by a participant

이런 사실은 없다는 전재하에 내가 만들어가는 현실이다. created

반응형
LIST

'질적연구이해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화는 없다.  (0) 2022.01.10
가볍게 읽기  (1) 2022.01.10
혼란스럽고 혼란스러운 관찰자2  (0) 2022.01.09
혼란스럽고 혼란스러운 관찰자1  (0) 2022.01.09
질적연구방법론은 무엇인가?  (0) 2022.01.09

관련글 더보기